그들이 그렇게 연애하는 까닭
그들이 그렇게 연애하는 까닭 - 아미르 레빈, 레이첼 헬러
- 독서목적:
- 나는 어떤 애착 유형인지,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 정리:
- 테스트에 따르면, 나는 불안형이다 (증상 보고 회피형일 줄 알았는데...)
- 불안형은 회피형한테 끌린다. 회피형의 무신경함에 매혹되고, 애착체계가 활성화되어서 이것이 정열적인 사랑이라고 착각하기 때문에
- 해결책 4가지
(1) 안정형을 만나라
(2) 이 사람이 내 욕구를 얼마나 채워줄 수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살피고 판단해라
(3) 욕구를 표현하자
욕구를 표현했을때의 장점 1) 자기만족, 자기행복 = 나를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함 / 2) 상대가 나의 욕구를 충족해줄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음
(4) 동시에 여러명을 만나면서 판단해라 (한 명한테 올인 X 선택을 서두르지 않기)
- 안정형<->비안정형 으로 성인이 되었을 때의 연애 경험에 의해서 서로 변할 수 있다. 사랑의 힘이란 사람에게 관계에 대한 자신의 가장 기본적인 신념이나 태도도 수정하게 할 정도로 강력한 것이기 때문이다.
- 안정형은 이 세상에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친밀감을 거부하지 않는 미래의 파트너가 얼마든지 존재한다고 믿는다. 또한 자신은 누군가가 사랑해주고 소중하게 여겨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항상 생각한다.
파트너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서로에게 안전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둘 다 자신있게 호기심 생기는 일을 좇고 세상을 탐험할 수 있게 해준다.
- 안정형의 사고방식 3가지
(1) 곁을 지켜주자 - 파트너가 스트레스 받을 때 보듬어주고, 필요하면 자신에게 의지하도록 두자. 일이 안풀리면 위로해주자
(2) 일에 간섭하지 말자 - 뒤에서 지지해주자. 상황에 너무 개입하거나 관리하지말자. 파트너의 자신감과 능력을 의심하지 말고 파트너가 스스로 해나갈 수 있다고 믿어주자
(3) 파트너를 격려하자 - 파트너가 지닌 지적인 목표, 개인적 성장 등을 지지하고 격려하자. 자존감을 높여주자
- 메모:
- 애착 원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을 떄 애정에 굶주리게 된다고 한다. 감정적인 욕구는 빨리 충족될수록 좋다. 충족되고 나면 그 사람은 다른 곳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흔히 애착 이론서들에서는 의존 역설 (dependency paradox) 이라고 부른다. 즉 서로 더 효과적으로 의존할수록 더 독립적이고 거리낌 없는 사이가 된다는 것이다.
-> 너무... 신기함... 그러니까 파트너한테 의지하고 안정감을 얻으면 비로소 더 걱정없이 자기 관심사에 집중할 수 있다는 거잖아
- 애착 대상이 같은 방 안에 있을 떄 아이는 처음 보는 환경에 자신을 내맡긴 채 자신감을 갖고 주변을 탐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런 현상을 안전 기지 (secure base)라고 부른다.
안전 기지란 어려운 시기에 자신이 완벽하게 확신을 갖고 도움을 청하거나 의지할 수 있는 누군가가 곁에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지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이는 아이의 성장과 탐구력, 학습능력이 향상되는데 꼭 필요한 전제 조건이다.
- 연인에게 욕구, 생각, 감정을 표현하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자. 파트너의 애착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이다.
- 회피형은 자신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지 않고도 잘살고 있다는 사실에 높은 자신감을 느낀다. 하지만 그만한 자신감에는 대가가 따르는 법이다. 회피형은 어떤 사람에게도 높은 친밀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들은 쉽게 자신을 열어보이지 않으며 친밀감을 불편하게 여기고, 아무리 힘들어도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구하지 않는다. (...)
대부분의 회피형은 자립심을 독립성으로 착각하고 있다. 자립심을 과대평가하다 보면 다른 사람의 도움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그것은 생명줄을 끊어버리는 행위나 마찬가지다.
지나친 자립심의 또 다른 문제는 '자기 자신'만 중요시하는 데서 비롯된다. 자립심은 회피형으로 하여금 파트너의 욕구를 무시하고 자신의 욕구에만 집중하게 함으로써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값진 경험인 사랑의 희열을 놓치게 만든다.
- 스트레스, 새로 태어난 아기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아내의 아주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손을 잡으며 지금 나에겐 당신이 필요해요. 제발 내 곁에 있어줘요) 은 존의 내면에 있던 안정적인 애착 체계를 일깨웠따. 그는 아내의 행복이 자신의 책임이자 신성한 의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 이런 놈팽이도 후천적으로 부양본능이 일깨워질 수 있구나...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과 그 날의 사건, 분위기 등등... 메모메모